2012-03-07
장순흥 교수 "한국 원전, 격납용기 새로운 방식 채택해야"
6일 기자간담회서 후쿠시마 사고조사 자문위원 활동 결과 밝혀
"우리나라도 원전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앞으로는 원전 격납용기에 물을 채우는 '수장냉각' 방식을 채택해야 할 것입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도 원전 안전성 확보를 위해 격납용기를 수장냉각 방식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해 12월 후쿠시마 원전사고 조사위원회 국제자문위원으로 임명돼 후쿠시마 사고 현장 방문 조사활동을 펼친 장순흥 한국원자력학회장(KAIST 원자력공학과 교수)은 6일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같은 방안을 제시했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조사위원회는 후쿠시마 사고의 원인과 피해상황에 대해 전문적으로 조사하고 검토해 유사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한다는 취지에서 일본 정부가 만든 기구다.
자문위원으로는 장 교수를 비롯해 리처드 메저브(Richard A. Meserve) 카네기연구소장(전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 위원장), 앙드레 클라우드 라코스테(Andre-Claude Lacoste) 프랑스 원자력안전규제당국 의장, 라스 에릭 홈(Lars-Erik Holm) 스웨덴 보건복지청 사무총장, 차 궈한(Chai, Guohan) 중국 환경부 수석 엔지니어 등 5명이 참여했다.
장 교수는 후쿠시마 사고에 대해 1·3호기보다 2호기 원전에 대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것이 사태를 키웠다고 진단했다.
장 교수는 "당시 3월 15~16일 사이 2호기 격납용기 내 압력이 7.3기압에서 1.5기압으로 현격히 떨어지고, 같은 기간 방사선량은 10μ㏜에서 1천~1만μ㏜로 급격히 상승했다"면서 "이는 격납용기가 파손되면서 방사성 물질이 대기중으로 배출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세슘은 물에서 99.9%까지 제거될 수 있다"면서 "1·3호기의 경우 방사성 물질들이 대부분 물을 통해 배출됐지만 2호기는 격납용기가 파손되면서 기체 형태로 대기에 확산됐다"고 말했다.
특히 장 교수는 "격납용기의 손상된 부분을 찾아 복구하고 물을 채우는 작업에 10년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우리나라도 원전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앞으로는 격납용기에 물을 채우는 '수장냉각' 방식을 채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런 가운데 일본 정부가 방사선 피폭 기준을 20밀리시버트(mSv)로 적용해 오히려 너무 많은 주민들이 대피하면서 피해가 커졌기 때문에 피폭 기준을 50mSv로 완화해야 한다는 권고도 있었다.
장 교수는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도 피폭 기준을 20~100mSv로 권고하고 있고, 100mSv 피폭까지는 인체에 해롭다는 것을 발견하지 못했다"면서 "현재 기준이 너무 보수적인 만큼 한국과 같은 50mSv의 기준에 맞춰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어 그는 "후쿠시마 원전 20㎞ 내에 있는 근로자 숙소의 시간당 방사선 선량률이 1마이크로시버트(μ㏜) 정도였지만 시간당 3.7μ㏜ 이하라면 밖에서 8시간 가량 실외활동을 해도 문제없다"면서 "일본 정부가 피폭 기준을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장 교수는 앞으로 원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5대 방안으로 ▲중대사고 대비 하드웨어 개선 ▲매뉴얼 및 절차서 강화 등 소프트웨어 강화 ▲원전 인력양성 및 강화 ▲안전문화 관리 ▲정책·제도·기준의 보완 등을 주문했다.